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김진영 부교수는 공동주택 리모델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건축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효율성, 안전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현장 관리 및 문화유산 탐방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김진영 교수의 연구는 미래 건축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진영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jinyoungkim@ajo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건축학과 |
| 사무실 번호 | 1536 |
| 연구실 | Building + IT Research Group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bitlab.ajou.ac.kr/ |
| 홈페이지 | https://bitlab.ajou.ac.kr/members |
| 소속 | 아주대학교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
| 재직기간 | 2020.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
| 재직기간 | 2016.09.01 ~ 2020.08.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 재직기간 | 2014.05.01 ~ 2016.08.31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
| 재직기간 | 2013.02.01 ~ 2014.04.30 |
| 담당업무 | - |
| 회사명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 재직기간 | 2008.08.01 ~ 2013.01.31 |
| 담당업무 | - |
| 연구 1 | 스마트 건설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건축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및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반(설계, 시공, 유지보수)의 효율성, 안전성, 품질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D LiDAR 센싱,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하여 건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노후 건축물의 디지털 안전 감시 기술을 개발하여 선제적인 안전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건설 현장의 자동화를 촉진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미래 건축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문화유산 탐방 시스템 개발과 같은 사회적 활용 분야에도 연구 역량을 확장하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 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며, 사용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 환경을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2 | 모듈러/프리캐스트 건설 및 공동주택 리모델링 혁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급변하는 주거 환경과 건설 산업의 요구에 맞춰 모듈러 건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등 Off-Site Construction 기술과 공동주택 리모델링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듈러 건축의 접합부 성능 평가 및 해석 모델 개발을 통해 다층 모듈러 건물의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고, PC 공법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장 제작 단계부터 고품질의 건축 부재 생산을 지원합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활성화를 위한 구조 안전성 평가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화된 설계-평가-추천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리모델링 과정을 지원합니다. 이는 노후 공동주택의 수직 증축 리모델링 기술개발 및 실증을 포함하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벽체, 바닥판의 정량 데이터 추출을 통해 최적의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설 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인력난 해소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 주거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3 | 건축 구조 안전성 평가 및 비파괴 검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첨단 평가 및 비파괴 검사(NDE)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건축물의 노후화 문제와 신축 건물의 품질 관리를 위해 다양한 비파괴 검사 기법(예: 임팩트 에코, GPR)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교량, 건물 등의 결함과 성능 저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인공신경망(ANN) 기반의 GPR 데이터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교량 상판의 상태 평가 정확도를 높이고, 3차원 시각화 기술로 비파괴 검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구조물의 열화 진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 거동 및 내력 평가, GFRP 철근의 부착 거동 연구 등 재료공학적 접근을 통해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물의 유지보수 및 보강 전략 수립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재난재해 예방 및 사회 기반 시설의 수명 연장에 기여함으로써 공공 안전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박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3) 석사 성균관대학교 (2008) 학사 성균관대학교 (2006)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