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고영배 교수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UWB 기반 고정밀 측위,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지능형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그리고 차량 통신 및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 구축에 깊이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복잡한 통신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래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고영배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youngko@ajo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소프트웨어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192432 |
| 연구실 | iCONS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iconslab/home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iconslab/member/professor |
| 소속 | 아주대학교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정보통신대학원 |
| 재직기간 | 2011.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회사명 | Portland State University |
| 재직기간 | 2015.09.01 ~ 2016.08.31 |
| 담당업무 | 컴퓨터 과학과 방문 교수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정보 및 컴퓨터 공학부 |
| 재직기간 | 2006.09.01 ~ 2011.08.31 |
| 담당업무 | 부교수 |
| 회사명 | UIUC Coordinated Science Lab |
| 재직기간 | 2008.09.01 ~ 2009.08.31 |
| 담당업무 | 방문 교수 |
| 회사명 | 아주대학교 정보 및 컴퓨터 공학부 |
| 재직기간 | 2002.09.01 ~ 2006.08.31 |
| 담당업무 | 조교수 |
| 회사명 |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 |
| 재직기간 | 2000.08.01 ~ 2002.08.31 |
| 담당업무 | Pervasive Computing Lab 연구원 |
| 회사명 | Huges Research Lab |
| 재직기간 | 1999.05.01 ~ 1999.08.31 |
| 담당업무 | 인턴 |
| 회사명 | Texas A&M University |
| 재직기간 | 1997.01.01 ~ 2000.08.31 |
| 담당업무 | 컴퓨터 과학과 연구 조교 |
| 연구 1 | UWB 기반 초정밀 위치 측위 및 실내 내비게이션 |
| 내용 | 본 연구실은 초광대역(UWB) 기술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측위 및 실내 내비게이션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GPS 신호가 제한적인 실내외 환경에서 UWB의 높은 정확도를 기반으로 보행자, 차량, 사물 등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보행자 측위 시스템(PedLoc), 증강현실-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WB-VIO 기반 상대 측위(LUV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복잡한 도시 환경 및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미래 스마트 시티, 물류, 안전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ES 2024에서 UWB 기술 기반의 고정밀 위치 추적 서비스인 '핸디 유비(Handy UB)'와 반려동물 위치 추적 및 행동 분석 서비스인 '나비넥 태그(Navi Neck)'를 선보이며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
| 연구 2 | AI 기반 지능형 무선 네트워크 및 라우팅 프로토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술을 무선 네트워크에 접목하여 지능형 라우팅 프로토콜 및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Q-러닝 등의 AI 기법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Ad Hoc 네트워크 등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고 네트워크 보안 및 트러스트 관리 기능을 강화합니다. 특히, 미션 크리티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신뢰 기반 지능형 라우팅 프로토콜(Trust-Based Intelligent Routing Protocol with Q-Learning)과 무인 항공 멀티홉 네트워크를 위한 Double Q-Learning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등 네트워크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복잡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최적의 경로를 찾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여 미래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3 | 차량 통신 및 스마트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차량 네트워크, IoT, 스마트 그리드 등 미래 스마트 시스템 환경에 필수적인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신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IEEE 802.11p/WAVE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AoI 및 충돌 위험도 기반의 적응적 안전 메시지 전송 알고리즘, UWB 내장형 차량용 키를 위한 고정밀 측위 알고리즘 등을 통해 차량 간 통신(V2V) 및 차량-인프라 통신(V2I)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또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네트워크 자가 복구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대규모 군집 드론을 위한 경쟁 기반 시분할 채널 접근 기법(TDMA) 등 다양한 스마트 시스템 환경에 최적화된 통신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 확보,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 스마트 에너지 관리 및 국방 분야의 무인 체계 운영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기술적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Texas A&M University 박사 (2000) 아주대학교 석사 (1995) 아주대학교 학사 (1991)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